🛡️ "Windows Defender SmartScreen이 이 앱의 실행을 차단했습니다" 해결 방법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실행하려고 할 때 갑자기
“Windows Defender SmartScreen이 이 앱의 실행을 차단했습니다”
라는 창이 뜨면 당황스러우셨죠?
이 메시지는 바이러스나 악성코드가 아니라도,
윈도우에서 알 수 없는 앱으로 인식하는 경우 발생하는
보안 차단 알림이에요.
특히 알약, 이스트소프트, 한컴오피스, 개인 개발툴 등을 실행할 때 자주 볼 수 있죠.
오늘은 이 메시지가 뜨는 이유와 간단하게 차단을 해제하는 방법,
그리고 주의할 점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이 메시지는 무슨 의미인가요?
윈도우10, 윈도우11에는 기본적으로 SmartScreen 필터가 적용되어 있어요.
이 기능은 인터넷에서 내려받은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고,
Microsoft가 신뢰하지 않는 출처일 경우 사용자에게 실행을 막는 보안 기능입니다.
즉, 아래 상황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 잘 알려지지 않은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 새롭게 업데이트된 프로그램의 설치파일일 때
- 개인 개발자가 만든 프로그램 실행 시
- 최근에 배포된 프로그램으로 아직 ‘신뢰 등급’이 부족한 경우
✅ 해결 방법 (실행 강제 허용)
SmartScreen이 차단한 앱을 그래도 실행하고 싶을 때는 아래 절차를 따라주세요.
1. 경고창을 무시하지 말고 자세히 정보 보기 클릭
창 하단에 “자세히 정보 보기(또는 자세히 보기)” 라는 파란 글자가 보일 거예요.
이걸 눌러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어요.
2. “실행” 버튼 활성화
자세히 보기를 누르면 "실행" 버튼이 새로 뜹니다.
여기서 [실행]을 클릭하면 프로그램을 강제로 실행할 수 있어요.
※ 만약 실행 버튼이 아예 없을 경우 → 관리자 권한 필요.
마우스 우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시도해보세요.
🔒 안전한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실행 전 다음 항목을 꼭 체크하세요.
- 파일 출처: 공식 홈페이지 또는 신뢰할 수 있는 배포처인지 확인
- 파일 이름과 확장자: .exe, .bat, .msi 등 실행 파일 맞는지
- 백신 검사: 알약, V3, 윈도우 디펜더로 사전 검사 한 번 돌리기
🔍 참고 팁:
virustotal.com 사이트에 설치 파일을 업로드하면
전 세계 보안 엔진으로 검사해볼 수 있어요.
🔧 차단 자체를 해제하고 싶다면?
반복적으로 신뢰되는 프로그램이 계속 차단된다면
SmartScreen 자체를 비활성화할 수 있어요. 단, 보안상 추천되진 않지만 방법은 아래와 같아요.
1. 설정 진입
제어판 > 보안 > Windows 보안 > 앱 및 브라우저 컨트롤
2. "SmartScreen" 항목 선택
- "Microsoft Defender SmartScreen 사용" → "경고만 표시" 또는 "해제" 선택 가능
📌 주의: SmartScreen을 해제하면
악성코드나 랜섬웨어 감염 위험이 올라가니 되도록이면 실행 단위로만 해제하는 걸 추천해요.
📝 이런 상황에서 특히 자주 나와요
- 네이버 카페/블로그 등에서 공유된 설치 파일
- 개인 개발자가 배포한 유틸리티
- 무료 파일 변환 도구나 자잘한 프로그램들
- 게임 모드 프로그램, VPN 툴 등 비공식 경로 실행파일
🧩 요약 정리
SmartScreen 차단 메시지 발생 | [자세히 보기] 클릭 후 [실행] 누르기 |
실행 버튼 없음 | 파일 우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계속 차단됨 | 설정에서 SmartScreen 설정 변경 (비추천) |
안전성 확인 | 백신 검사 + VirusTotal 활용 |
정리하자면,
이 메시지는 꼭 바이러스가 있다는 뜻이 아니라,
단순히 Microsoft가 아직 인증을 받지 않은 프로그램에 대해
기계적으로 차단하고 있는 거예요.
문제 없이 실행 가능한 파일들도 많으니
출처만 정확하다면 너무 겁먹지 마시고
오늘 알려드린 방법으로 쉽게 해결해보세요.